본문 바로가기
이러닝

우리나라 교육용 콘텐츠 발전 단계

by excelnote2 2013. 4. 14.

1단계 (  ~ 1995년)

 

ㅇ 개요

- 저작도구 개발 보급 및 교육용 소프트웨어 공모전을 통해 교육용 콘텐츠의 양적 확보에 초점

- 초기에는 특정 주제를 대상으로 한 컴퓨터 보조학습을 위한 CAI 형태로 개발

- 교육용 콘텐츠 개발은 16개 시도교육청과 한국교육개발원과 공동으로 추진하였으며 5.25인치 

   플로피 디스크로 보급

- 90년대 중반 교육용 소프트웨어 공모전 시행으로 교사들의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관심 증대, 

   저작도구 보급으로 쉽게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

- 이러한 지원은 교사들이 개발한 우수한 콘텐츠를 발굴할 수 있는 계기가 됨

 

ㅇ 기반연구 

- CAI 모형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학교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CAI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초 연구

 

ㅇ 추진내용

* 개발 보급 및 정착

-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 학교에 보급된 컴퓨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교수-학습방법 개선 등 지원을 위해 시도 교육청 공동으로 교과 중심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 저작도구 개발 보급 : 교사가 스스로 교수-학습 활동에 필요한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저작도구를 개발하고 연수를 실시(GREAT, 새빛 등)

- 교육용 소프트웨어 공모전 : 92년부터 공모전을 운영.

 

* 평가

- 현장적용연구 : CAI 소프트웨어 적용에 관한 현장 분석과 해결 방안 탐색을 위한 연구

 

ㅇ 시사점

* 국가 주도의 콘텐츠 개발 보급 추진

- 학교 컴퓨터 교육과  ICT 활용을 위한 정책을 기반으로 이에 필요한 콘텐츠의 개발 보급이 국가 주도로 이루어짐

 

* 콘텐츠 개발 활성화 및 학교 보급, 교원 연수

- 국가 주도의 콘텐츠 개발에서 교사 주도의 콘텐츠 개발로 유도하도록 노력

- 저작도구 보급, '전국 교육용 소프트웨어 공모전' 등을 개최하여 활성화에 노력

- 교원의 컴퓨터 리터러시 및 콘텐츠 개발 관련 연수 실시

 

* 교원의 인식 부족과 콘텐츠 보급 미비

- 학교 현장의 컴퓨터 활용에 대한 인식 부족

- 국가 주도의 일방적 추진으로 인한 부작용(담당교사 업무 과정, 유지보수 등을 위한 예산 미확보, 전산보조원 미배치 등)

- 국가 주도의 콘텐츠는 특정 교과 특정 주제만 개발 보급

 

* 교원 연수 및 콘텐츠 질관리 문제

- 교사와 학생의 컴퓨터 활용 능력 미비로 주로 ICT에 대한 인식 확산과 컴퓨터 리터러시 연수에 치중

- 컴퓨터 유지보수 체계가 없어 교사가 직접 고장 난 컴퓨터 보수와 학생의 컴퓨터 활용 기초 지도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보다 정보화는 불편한 것으로 인식

- 콘텐츠에 대한 평가와 관리 등의 전략이 미흡

- 개발 단계와 개발 후 단계에서의 품질 검증과 평가, 사용자에 대한 평가 정보 제공과 같은 적극적 평가 결과 제공의 부재는 교육용 콘텐츠 확산에 걸림돌

 

 

2단계 (  ~ 2000년)

 

ㅇ 개요

- 에듀넷 개통을 통한 다양한 콘텐츠의 보급 확대

- 개발 주체의 다양화(시도 공동 -> 시도 자체, 멀티미디어 교육지원센터 등)

- 교단 선진화를 위한 학교 인프라 기반이 구축되면서 학교 수업에 활용이 가능한 교수용 콘텐츠 

  개발이 추진

-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수업에 활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교육자료 개발 보급

 

ㅇ 추진내용

* 기반 연구 및 정책

- 교육용 소프트웨어 설계 지침 :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설계 지침

- 민간 교육용 소프트웨어 활성화 : 민간 기업에서 개발한 다양한 교육용 소프트웨어들을 교사들이 직접 선정 및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

- 교육용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제 : 품질유지를 위한 품질인증 기준제시를 통해 민간 기업에서 자체적인 품질향상을 유도하고 소비자들에게는 판단 근거를 제공하고자 시행

- 정품 소프트웨어 확보 ; 품질 인증제 운영, 품질인증 제품 목록집 발간 및 보급 등 우수 콘텐츠 확보 및 우수 개발 기업 육성을 위한 계획

 

* 콘텐츠 개발

- 사이버 학습교재 : 가정 및 학교에서의 멀티미디어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교과교육 정보와 학습활동 지원 자료

- 멀티미디어 교육 자료 : 교수-학습자료 개발이ㅡ 기본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그림, 사진, 동영상, 음성, 애니메이션, 모듈 등의 요소 자료로 개발

- 교수용 소프트웨어 : 교단선진화 장비가 구축된 교실에서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별, 단원별, 주제별 교육과정에 맞춰 개발된 콘텐츠

 

* 콘텐츠 보급

- 에듀넷 운영 : 인터넷을 통해 교사 및 학생이 교수-학습 활동에 피룡한 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교육 정보 및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

- 교육정보화 종합 전시회 : 98년부터 전국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순회 전시회를 실시함으로써 민간 기업의 우수 소프트웨어의 전시 및 시연을 통해 교사, 학생, 학부모가 필요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지원

- 교육 정보 공유 운동 : 우수한 교육정보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교육 자료를 누구나 쉽게 얻게 하고자 함

 

ㅇ 시사점

* 국가-민간 협력 체제를 통한 콘텐츠 개발

- 98년 '민간개발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활용 활성화 계획'에 따라 학교에 콘텐츠 구입비를 지원하였으며 민간 개발 콘텐츠에 대한 품질인증을 통해 인증된 콘텐츠에 한해 정품 소프트웨어를 학교에서 구입하도록 함

 

* 학습용 콘텐츠와 교수용 콘텐츠 개발

- 학습용 콘텐츠 개발 중심에서 교수용 콘텐츠 개발로 확대 

- 교단선진화 장비 구축에 따라 수업에서의 콘텐츠 활용 활성화와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이루어짐

 

* 인터넷을 이용한 콘텐츠 보급

- 교육정보 종합 서비스인 에듀넷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무상 보급

- 학교 현장의 보급 속도의 가속화와 자료 제공 방법이 기존 방식(시디롬 등)과 달라짐

- 교육정보 공유 운동, 콘텐츠 종합 전시회를 통해 확산에 주력

 

ㅇ 고려사항

* 콘텐츠 개발 다변화에 따른 전략 미비

- 시도교육청 주관으로 콘텐츠가 개발됨에 따라 주요 교과와 주제가 중복, 편중되는 문제가 발생

- 또한 시도 교육청별로 투입 예산과 콘텐츠의 질적 수준에서도 차이가 발생

 

 

- 콘텐츠 개발을 위한 중복성 방지, 일관성있는 추진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전략적 방향 미비

 

* 콘텐츠 공유에 대한 인식 부족

- 콘텐츠 활용에 관한 교원 연수의 부족, 교과별/단원별로 편중된 개발, 개별학습용 콘텐츠 개발 위주 등으로 콘텐츠의 양적 증가에 비해 활용은 다소 미흡

- 패키지 형태로 개발된 콘텐츠는 교사가 편집, 가공이 불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없었음

 

* 우수 콘텐츠 확보 미흡

- 품질인증제 실시 이후 인증된 콘텐츠에 대한 보급 체제 및 사후 관리 등이 미흡하여 우수한 교육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확보 및 보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함

 

 

3단계 (  ~ 2005)

 

ㅇ 개요

-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제도 정비 :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개념 공유, 분류체계, 제작지침, 서비스를 

   위한 메타데이터 지침, 공동활용 지침 마련

- 양적 질적으로 우수한 콘텐츠가 대량으로 확보 및 보급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우리나라 교육용 

   콘텐츠의 근간을 이루게 된 시기임

- 2001년 'ICT활용 학교교육 활성화 계획'을 바탕으로 '교육용 콘텐츠 5개년 계획'을 수립

- 다양한 교수용 콘텐츠 개발을 통해 학교 수업의 질을 개선하고 학습용 콘텐츠 개발을 통해 학생의 

   자율학습, 보충학습을 지원하도록 하였음

- 모든 교과, 모든 학습 주제를 대상으로  콘텐츠 개발

- 2004년부터 교수용 콘텐츠와 더불어 학생의 자율, 보충학습 지원을 위한 학습용 콘텐츠 개발에 주력

 

ㅇ 추진내용

* 기반연구 및 정책

- 교육용 콘텐츠 개발 계획 : 7차 교육과정에 필요한 교육용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계획(멀티미디어 교육자료, ICT 활용 교수-학습과정안, 주제 단위 교육 콘텐츠 등)

- 민간 교육용 소프트웨어 활성화 확대 : 민간 기업에서 개발된 우수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학교에서 구입할 수 있도록 학교당 약 200만원 지원(매년 100억원 이상 집행)

- KEM 1.0/2.0 연구 : 국내외 교육자료 메타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자료를 기반으로 표준데이터 요소 제시. 교육정보 메타데이터와 연계한 저작권 관리를 위한 2.0 연구

- 교과별 콘텐츠 개발 지침 : 사이버 가정학습 자율학습 콘텐츠의 개발에 필요한 지침 제공과 시도교육청 간의 공동 활용 및 재상용을 위한 개발 및 제작지침 등을 제시

 

* 개발보급 및 평가

- ICT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 : ICT 활용 수업을 위한 차시별 기본적인 수업 설계안을 제시하고 필요한 자료를 패키지 형태로 제공한 교수용 콘텐츠

- 사이버 가정확습 콘텐츠 : 방과후 개별학습을 위해 학생의 수준과 학습 스타일을 고려한 수준별 보충학습이 가능한 콘텐츠

- 전자교과서 개발 : 기존 인쇄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수-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

- 교육용 콘텐츠 활용 실태 조사 ; 학교 현장의 교육용 콘텐츠 활용 현황을 조사하고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수요를 분석함으로써 교육용 콘텐츠의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

 

ㅇ 고려사항

* 시도 교육청과의 공동 추진 체제

- 이 단계에서는 양적 질적으로 교육용 콘텐츠가 확산되었으며 교수용, 학습용이 균형을 이루며 개발되었음

- 시도교육청 간 교과분담 콘텐츠 개발로 중복 개발 방지 및 현장 활용도를 높일 수 있었음

 

* 교육정보 표준 적용

- 콘텐츠 제작방법, 분류 체제 등의 표준 적용을 기반으로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메타데이터 개발 및 적용으로 콘텐츠의 공동활용 촉진 및 정보이용이 편의성을 제고

 

* 품질관리 방안 마련

- 교육용 콘텐츠 활용 실태 조사를 기반으로 콘텐츠 활용 지침 제시, 콘텐츠 활용 평가 지표 개발, 교육용 콘텐츠 품질관리 가이드 북 개발 등의 다양한 품질관리 방안을 마련

 

* 확대된 표준화 적용이 필요

- 콘텐츠 개발의 표준화는 콘텐츠의 개발, 공유, 활용 등 전 영역에 적용되지 못하고 개발 및 공유의 편의성 만을 위해 적용되었음

- 따라서 향후 단계에서는 전 영역의 표준화와 국제 표준과의 상호 보완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었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