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러닝

디지털 콘텐츠 설계 모형의 이해

by excelnote2 2013. 4. 28.

설계 모형의 개념 및 필요성

설계모형들은 일반적으로 설계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핵심적인 활동과 절차를 간략하고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설계모형을 보다 이론적으로 설명하자면, “수업 설계 내지 수업체제 설계의 사상을 기술, 설명, 처방, 예언하기 위하여, 수업체제와 수업체제 설계 과정을 축소·추상·단순화하여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설계 모형은 수업자체의 운영보다는 설계하는 절차적 활동을 명시하는데 초점이 있으므로 보다 메타적이고 설계 활동 중심적이다. 전통적으로 말하는 수업개발에 초점이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기획과 설계, 평가를 위해 수업장면(교실상황)을 벗어난 준비와 마무리 상황, 즉 분석과 평가 등까지도 모두 포함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포괄적인 의미에서 말하는수업 전략보다 시작과 끝이 상대적으로 명확하며 체계적인 절차를 강조하거나, 한 국면과 또다른 국면간의 연계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 전략적인 것 그 자체보다는 과정에 중점을 둔다. 어떠한 개념의 요소를 밝혀 전략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거나(: Keller ARCS모형), 내용 계열화 및 과제 및 내용분석의 원리를 제시하고 처방적 지침을 제안하는 설계 이론들(:Reigeluth의 정교화 교수이론, MerrillCDT이론 등)과는 다르다. 소위 말하는 교수개발 접근에 근간을 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입, 전개, 마무리, 또는 좀더 교육공학적으로 말한다면 분석, 설계, 개발, 실행 등과 같은 행동절차가 포함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와 같은 절차적 또는 활동에 대한 지침이기 때문에 전략이라는 용어보다는 모형이라는 용어를 활용하고 있다.

전통적 설계 모형

ADDIE 모형

- 이 모형은 교수설계 절차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다섯 단계로 나누고 있는 가장 원론적이고 포괄성있는 모델이다. 정밀함보다는 상식적인 수준에서 활동의 범위를 설정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굳이 교수의 상황이 아니더라도 설계를 하는 모든 일상에 적용될 수 있을 정도의 모형이다. 이는 경영학, 행정학, 그리고 시스템 소프트웨어 설계 등 교수와 무관한 분야에서도 설계와 관련된 영역이라면 이 모델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쉽게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세부 교수설계 모델의 모태가 된 원형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DickCarey의 모형

- DickCarey의 모형은 교수를 설계하기 위한 절차들을 세분화하고, 각각에 대한 설계 지침을 매우 구체적인 수준에서 제시하는 모형이다. 그들은 각 단계당 수행해야 할 활동들을 예시와 함께 매우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각 단계에 대해 매우 미시적이고 환원주의적으로 접근하는 모형으로서 전형적인 행동주의적 접근과 궤를 같이 한다. 학습목표의 명세화, 그 목표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활도의 즉시적 설계, 이에 따른 교수-학습자료와 경험이 매우 꼼꼼하고도 일관성있게 제시되어 있다.


SeelsRichey의 정교화된 ADDIE 모형

- SeelsRichey의 정교화된 ADDIE모형(1994)은 기존의 ADDIE모형에서 역할과 기능, 세부단계, 산출물을 좀더 명세화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모형은 기존 ADDIE의 각 단계를 과정으로 뭉뜽그려 이해하고, 이를 좀더 활동과 결과물 중심으로 나누어 세분화하였다.

수업설계

과정

역할(기능)

세부단계(활동)

 산출결과

분석

학습내용(what)을 정의하는 과정

요구, 학습자, 환경, 직무 및 과제분석

요구, 교육목적, 제한점, 학습과제

설계

수업내용(how)을 구체화하는 과정

성취행동목표 진술, 평가도구개발, 수업전략 및 매체선정

성취행동목표, 수업전략 등을 포함한 설계명세서

개발

수업자료를 제작하는 과정

수업자료 제작, 형성평가 실시 및 수업자료의 수정

완성된 수업자료

실행

수업자료를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

수업자료의 사용 및 관리

실행된 수업자료

평가

수업자료의 효과성, 효율성을 결정하는 과정

총괄평가

프로그램의 가치와 평가보고서


Glaser의 수업과정 모형

- Glaser의 수업과정 모형은 수업장면을 중심으로 한 핵심활동을 중점에 놓고, 그 외의 수업장면 밖에서의 설계활동을 최소화한 모형이다. 그렇기 때문에 목표의 설정, 사전진다, 수업진행, 평가 활동 동의 핵심 활동들에 대한 것만이 명세화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각 단계의 수행 절차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에 대한 것은 DickCarey의 것과 유사한 수준으로 세밀하다.


Kemp의 수업개발 모형

- 이 모형은 교수개발모형의 어느 단계에서나 설계활동을 시작할 수 있으며, 어느 순서로든지 진행할 수 있음에 초점을 둔다. 그래서 모형의 형태 역시 원형이며, 각 국면별 단계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다. 설계란 수정을 행하는 지속적인 순환과정이며, ‘수정은 교수개발의 다른 모든 요소들과 계속으로 관련되는 활동을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교수개발에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상호의존적이며, 필요한 경우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이론은 본질적으로 일반체제론적 모형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콘텐츠 설계 모형

LeeOwens의 인터넷 교육과정 설계 모형

- LeeOwens(2000)의 교수설계모형은 전통적인 설계모델을 인터넷 교육과정 설계용으로 전환한 것이다. 이 모형은 이러닝 교육과정 설계에서 발생하기 쉬운 시간과 비용의 낭비, 불필요한 재작업 등을 고려하여 각 사항별로 중복되는 요소를 줄인 모형이다. 시간적·비용적 낭비요소를 줄이는 것은 아주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시작 단계인 기초분석에서부터 최종단계인 비용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를 미리 예측하여 분석해 보는전단분석( Front-end Analysis)을 포함하였다. 기존의 전통적 교수설계 절차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중요요소만 첨가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점이 장점이다. 그러나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활동·참여를 위한 요소들은 구체적이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Driscoll의 이러닝 설계 모형

- Driscoll(1998)의 모형은 ADDIE모형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기술 인프라를 보다 강조하고 있다. 분리된 네트워크, 부서별로 독자적인 컴퓨터 시스템 보유 여부, 사용 브라우저에 관련된 사항 등 테크놀로지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결정한 후 구체적인 내용 설계에 들어갈 것을 제안한다.

- 이러닝 교육과정이 활용될 수 있는 형태는 다음 네가지로 나눈다.

· 개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인 인터넷 혹은 컴퓨터기반학습

· 문제해결이나 프로젝트 위주 학습등에 적합한 적시(Just-In-Time)교육과 훈련에 잘 맞는 Web/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W/EPSS)

· 학습자간의 비실시간 토론 등을 위한 Web/Virtual Asynchronous Classroom(W/VAC)

· 문제해결 및 그룹과제 분석등의 협동학습을 위한 Web/Virtual Synchronous Classroom(W/VSC)

- 교육의 테크놀로지 형태가 결정된 다음에는 수업내용을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로 나누어 각각 구체적인 내용을 설계하는데, 교수자의 경우 먼저 하이퍼미디어, 상호작용과 같은 인터넷의 기술적 기능을 응용할 수 있게 하고, 촉진활동을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Horton의 이러닝 설계 모형

- Horton(2000)은 장기간의 온라인 교육 컨설팅 경험을 기반으로 한 학습 활동 중심의 설계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 설계 단계에서는 과연 온라인 교육이 최선의 선택인가를 확인함으로써 명확한 확신을 가지도록 하고, 그 다음은 조직에 적합한 교육 형태를 결정한다. 이 모형은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학습 활동, 협동 학습, 학습 동기화 등을 강조한다. 능동적인 학습 활동을 설계할 것을 주장하면서, 이를 위한 이메일 의무 사용, 수업 중 토론, 인터넷 보드, 화면 공유하기, 오디오 비디오 컨퍼런스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또한 학습자들이 최상의 학습 동기화가 생기도록 조직적인 차원에서의 보상에 관한 전략도 제시하고 있다. 이 모형은 타당성높은 이러닝 수업을 개발하고 학습자의 활동을 활성화하는데 매우 큰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적절한 설계를 위해서는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다수의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댓글